관심분야 135

빅데이터시대, 내 정보는 돈과 직결되고 있다

[AI시대 인간과 일]에서 데븐포트 교수는 기술을 활용한 증강이 인간에게 줄 수 있는 도움을 2가지 측면에서 이야기 했습니다. 기술을 활용한 증강이 인간에게 줄 수 있는 2가지 도움1) 사람에게 있었으면 하는 것을 준다.2) 사람들에게서 없었으면 하는 것을 없앤다. 교육과 심리 관점에서 보자면 이 도움은 ‘강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행동주의에서 강조하는 ‘강화’는 일종의 습관에 관한 것입니다. 특정 조건을 계속 형성해서 습관이 되게 한다는 의미로 많이 쓰입니다. 강화에는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가 있습니다. 둘 다 바람직한 습관 형성과 관련 있는 것인데, 자극 제공 방식이 다릅니다. 정적 강화는 1)의 설명과 같이 바람직한 조건을 계속 제시합니다. 부적 강화는 2)의 설명과 같이 바람직하지 않은 조건을 제..

인공지능은 정말 추상적인 일을 할 수 없을까?

인공지능 기술과 함께 주로 거론되는 기술로 ‘기계학습’이 있습니다. 그러나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방식으로는 ‘기호 추론 방식’도 있었고, 이것이 초창기 인공지능을 연구하던 방식이었습니다. 이 두 가지 방식의 특징을 알면 지금 인공지능 연구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소개하는 매체에서 자주 언급하는 ‘인공지능의 한계’에 대해서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오늘 이 내용을 위해 참고로 한 책은 [인공지능의 미래(제리 카플란/한스미디어/2017)]입니다. 책의 저자인 카플란 교수에 대해 “스탠퍼드대학교 법정보학센터 교수, 인공지능학자. 학생들에게 컴퓨터 공학과 인공지능의 영향, 윤리에 대해 가르치고 있다”고 소개합니다. 카플란 교수는 기..

자동화 vs. 증강

[AI시대 인간과 일(토머스 대븐포트, 줄리아 커비, 김영사, 2017)]는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는 기업의 다양한 사례를 보여주며 인간과 기술의 관계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있습니다. 특히 ‘증강’이라는 개념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며 인간과 인공지능의 관계는 ‘증강’의 관계여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사람들은 ‘기계사용=자동화’라고 보통 생각합니다. 자동화와 증강은 어떻게 다를까요? 그 둘은 각각 우리 인간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그래서 자동화와 증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토머스 대븐포트가 주장하는 ‘증강’의 의미도 함께 말입니다. 먼저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겠습니다. 자동화(自動化, automation) 제어 시스템과 다른 정보기술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산업 기계류와 공정을 제어, 사..

기계가 학습한다? 전통적 인공지능 vs. 현재 인공지능

카이스트 김대식교수의 책 [김대식의 인간 vs. 기계(김대식, 동아시아, 2016)]에서 인공지능 기술 방식에 대한 설명을 정리했습니다. 기계가 학습을 한다는 것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인공지능에 대한 막연함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1세대 인공지능 연구의 특징, 한계, 오류‘기계학습’의 시작은 이렇습니다.- 1956년 다트머스대학에 모인 컴퓨터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제시- ‘어려운 계산을 너무나도 쉽게 하는 기계, 인간에게 어려운 문제 역시 쉽게 풀 수 있지 않을까?’ 전통적인 인공지능 연구 방식은..- 가정: 세상은 ‘기호와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내 머리 안에서 기호와 규칙으로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면 사람하고 똑같이 지능을 만들어낼 수 있겠구나’라는 ..

2018년 2월 첫째 주 인공지능 어떤 책이 많이 팔렸나 Best19(알라딘 랭킹)

저는 책을 주로 알라딘에서 구매를 합니다. 가끔 필요한 책을 중고책으로 구매하는 재미도 쏠쏠합니다.(알라딘: http://www.aladin.co.kr) 보통은 정확도나 상품명으로 검색결과를 봅니다만, 오늘은 인공지능에 대한 책 중 어떤 책들이 많이 팔렸을까 궁금했습니다. 다음은 1위에서 19위까지 랭크된 책입니다. 블록체인 혁명 - 돈 탭스콧.알렉스 탭스콧 지음 / 을유문화사 / 2017년 1월로봇 시대, 인간의 일 - 구본권 지음 / 어크로스 / 2015년 11월맥스 테그마크의 라이프 3.0 - 맥스 테그마크 지음, 백우진 옮김 / 동아시아 / 2017년 12월Why? 인공 지능 - 윤상석 지음, 정석호 그림, 장병탁 감수 / 예림당 / 2017년 9월지능의 탄생 - 이대열 지음 / 바다출판사 /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