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02

완벽주의 그만! 지금부터 실천할 3가지

'나름 완벽주의' 때문에 데드라인까지 일은 끝나지 않고, 계속 일 가지 수만 늘어나 압박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어떻게 하면 효율과 생산성을 높여서 여유 시간은 늘이고, 스트레스는 줄일 수 있을까 고민해봤습니다. 그리고 지금 바로 실천할 3가지를 정리했습니다.  1. 일단 산출물을 만들고 제출하기내가 생산해야 할 산출물의 적정한 기준을 정하고, 일단 산출물을 만들어 제출합니다.데드라인까지 완벽한 결과물을 만들겠다는 욕심에 시간을 끌지 않는 것이 포인트입니다.중요한 것은 적정한 수준에서 마무리하고 제출하는 것입니다.추후 요청이 있다면 수정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2. 여러 일을 동시에 하지 말고 하나씩 끝내기하루에 처리할 일이 여러 가지 있다면, 그 자체로 부담입니다.경험상, 가장 효율적인 작업량은 큰 ..

비용 없이 감동 100%! 소중한 사람을 위한 감동 선물 만드는 초간단 방법

내 주변의 소중한 사람에게 마음을 전하고 싶다면, 챗GPT같은 생성형AI 활용해 특별한 메시지를 만들어보세요. 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 노노~이건 예금을 드는 수준입니다! 그 사람에 관한 몇 줄의 글이 감동을 주는 선물이 될 수 있습니다.제가 여러 번 해보니 실패가 없었습니다!심지어 하면 할수록 실력도 늘고, 재미도 있습니다!!방법은 간단합니다.  친구의 이름으로 삼행시를 지어보세요!  기본 프롬프트 형식은 이렇습니다."OOO(이름) 삼행시, (옵션으로 내가 생각하는 느낌, 감정 추가)" 프롬프트 예시를 볼까요? OOO(이름) 삼행시, 격려 내용, 좀 편안한 마음과 여유 강조  OOO(이름) 삼행시, 아기와 함께 행복하길, 여유롭고 사랑의 시간 보내길  OOO(이름) 삼행시, 열심히 사시는 모습..

오늘 할 일, 작은 성취로 만들어보기

오늘 마주한 일이 나를 답답하게 만드나요? 어려워 보이는 일도 차근차근 쪼개보면 생각보다 쉬울 수 있습니다.내게는 해결할 능력이 있습니다.  어떤 문제가 내게 온다는 것은 단순히 어려운 일이 생긴 것이 아니라, 내가 그 일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기회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즉, 문제를 해결할 기회와 능력을 동시에 받는 셈입니다.문제를 해결하면서 나의 능력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더욱 발전할 수 있죠. 효율적인 문제 해결 전략, 지금 바로 시작해 보세요! 큰 덩어리는 작게 나누기: 복잡해 보이는 큰 일을 작게 나누면 좀 다르게 느껴집니다.처리 순서 정하기: 우선순위를 정하고 하나씩 처리하겠다 생각하면, 그 일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러나 저러나 결국 내가 할 일..조금 달리 보기 연습을 해 보아요..

AI 시대, 창의성을 지키며 나만의 스타일을 만드는 법

'창의성'에 대한 신문 기사를 찾던 중, 유니스트(UNIST) 특임교수가 된 이세돌 전 프로 바둑 기사의 특강 요약이 실린 파이낸셜뉴스 기사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문장들이 인상 깊었습니다.  AI를 경쟁 대상으로만 보지 말고, 함께 발전할 수 있는 기회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이세돌).인생에서도 AI 도움을 받되, 그 속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만들어 가는 것이 핵심.AI를 활용하면서 각자 개성과 강점을 키우는 것이 필수적.대국에서 졌을 때가 더 기억에 남는다, 실패가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이었음을 회상했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2251247204706 강단에 선 이세돌 유니스트 교수 "AI 도움받되 창의성 갖춰야"【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AI와 교육 2025.02.26

논문 작성할 때 참고문헌에 DOI를 넣어야 한다면?

논문 작성할 때 가끔 참고문헌의 DOI를 넣도록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한국 DOI 센터]의 "DOI 찾기" 기능이 유용합니다. 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data.doi.or.kr/lookup/lookup-form.page DOI Lookup 서비스 Loading... {{= citationText }} 저널명 {{= journalTitle }} 호 {{= issue}} 시작페이지 {{= startPg}} 제목 {{= articleTitle}} 발행년도 {{= pubYear}} 저자 {{= authorName}} data.doi.or.kr 사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인용문"에 참고문헌을 넣고 "조회"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한번에 여러 개 참고문헌에 대해서도 조회가 가능하니 참고..

팁!팁!!팁!!! 2021.05.13

목표가 있는데 불안한 이유, 걱정이 생기는 이유.. 그 때 무엇을 하면 좋을까

뭔가를 하겠다고 목표를 세웠는데, 갑자기 불안감이 엄습할 때가 있습니다. 걱정이 막 생기기 시작하면서.. 마음 속에서 이런 생각들이 계속 떠오릅니다. '안 되면 어떡하지?' '실패하면 어떡하지?' '이 방법이 아니면 어떡하지?' '지금 하는 이것이 효과가 없으면 어떡하지?' 이런 불안감과 걱정의 조금 아래, 근본적인 이유를 보면 의외로 그 목표를 달성하고 싶어서, 그 일을 잘하고 싶어서인 경우가 많습니다. 내가 원하는 그 일을 성공시키기 위해서, 해내고 싶어서 그렇습니다. 지금의 내 현실과 내가 바라는 이상 사이에 괴리가 느껴지니까 불안하고 걱정이 되는 것인데, 그 간극이 크면 클수록 부정적인 감정의 크기도 커지더군요. 이럴 때 이렇게 관점을 바꿔 보는 것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못할까 싶어서, 실패할까..

노력 했는데.. ㅠㅠ

살다 보면 가끔..혹은 자주 내가 들인 노력에 비해 결과와 성과가 따라주지 않을 때를 만납니다. 그럴 때 몸도 마음도 많이 힘이 듭니다. 이미 노력을 했기 때문에 기진맥진 하기도 하고, 성에 차지 않는 결과로 실망도 했기 때문입니다. 내가 왜 노력을 했나 싶기도 하고, 내 노력이 하찮게 느껴집니다. 저도 최근에 그런 일을 또 겪기도 해서 그럴 때 어떻게 생각하고 마음을 바꿔 먹으면 좋을지 생각하는 계기를 만들어 봤습니다. https://youtu.be/FOYXS2vZTTA 내 노력이 하찮아 보일 때..

[파워포인트팁, PPT팁] 표에서 열 너비 같게 만들기

파워포인트에서 표 만들 때 잘 몰라서 불편했던 기능 중 하나가 '열 너비, 행 높이 같게 만들기'입니다. 전에는 잘 몰라서 일일이 커서로 가느다란 선을 붙잡고 부들부들 떨어가며 조절해 보지만 딱 맞지 않아서 정말 눈에 걸렸습니다. 그러다가 옵션을 찾았습니다. 알고 보니 정말 간단하더군요. (모든 일이 그렇겠지만요.) 미처 몰랐던 분들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Step 1] 표에서 행 넓이를 동일하게 하고 싶은 영역을 선택합니다. 저는 "Before"의 5개 열 중에서 뒤에 3개를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상단 메뉴바에서 [레이아웃]을 선택합니다. [Step 2] 중간 정도에 보시면 [셀 크기]라는 메뉴 영역이 있습니다. [셀 크기] 영역에 "행 높이를 같게", "열 너비를 같게"라는 버튼이 보이시죠? 바로 ..

팁!팁!!팁!!! 2021.03.05

성공적 대학원 생활을 위한 습관 - 정리, 또 정리, 무엇이든 정리

대학원 생활을 잘 하기 위해 필요한 습관이 무엇일까 생각해 봤습니다. 제가 보기에 가장 중요한 습관은 '정리하는 습관'입니다. 정리의 대상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먼저 정리할 것은 '공간 정리'입니다. 제가 있는 모든 공간이 정리의 대상입니다. 생활하는 공간, 공부&연구하는 공간, (직장인이라면) 일하는 공간... 물리적 공간이 잘 정리되어 있으면 여러모로 시간과 에너지를 줄일 수 있습니다. 방이 잘 정리되어 있으면 바로 쉴 수 있습니다. 공부&연구하는 공간이 잘 정리되어 있으면 바로 공부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일하는 공간이 잘 정리되어 있으면 바로 일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부&연구하는 공간과 일하는 공간은 어지러우면 계속 뭘 찾느라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투고할 학술지 후보 찾기

처음 학술지 투고를 준비할 때는 모든 것이 다 어렵고 장애물 투성이입니다. 심지어 투고할 학술지 후보를 찾는 일조차도 도전인데요, 그래서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을 영상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투고할 학술지 후보를 찾을 때는 여러 개를 찾습니다. 그 중에서 다음의 것을 고려하고, 교수님과 의논하여 투고할 곳을 정하게 됩니다. 1. 등재(후보)지인지 여부 2. 투고 및 발간 일자 3. 발간까지 드는 총 비용 이 내용이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youtu.be/k0JNeNEhyBY [늦은 박사과정 언니] 한국학술지인용색인 이용해서 투고할 학술지 후보 찾기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사이트 주소: kci.go.kr www.kci.go.kr/kciportal/main.kci 한국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