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02

내 모습으로 작은 행복을 느끼는 여기가 바로 [Paradise] by BTS

요즘 열심히 듣고 있는 노래 [Paradise]입니다. https://youtu.be/obH7iPDAn2Q 방탄소년단, BTS - [Paradise] 제목만 듣고서는 어떤 내용일지 궁금했습니다. 뭔가 따뜻하고 환상적인 느낌의 노래려나? 했는데, 처음 접했을 때 어두운 분위기라 쉽게 시도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러다 어느 날 첫 소절 가사를 듣다가 곡 내용이 궁금해졌습니다. 가사를 통해 알게된 이 노래는 '꿈'에 대한 이야기인데, 좀 다른 방향에서 쓰여진 곡이었습니다. 어디선가 들은 이야기입니다. 학생들이 가장 싫어하는 질문이 "네 꿈이 뭐야?" 라고 합니다. 저는 학생들이 왜 싫어하는지 좀 알 것 같습니다. 우선 질문이 어렵고 모호해서 바로 답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마치 다음 가사처럼요. Ah yeah 세상..

중년의 운동은 살기 위한 것

태어나면서 지금까지도 '모태 몸치'라 느끼는 저인지라.. 제 삶에 '운동'은 없는 단어라고 생각해왔습니다. 그러다가 작년 8월부터 요가를 시작했습니다. 요가를 수행의 차원보다는 정말 운동으로 시작했죠. 늦은 나이에 석사학위청구논문을 쓰는데, 그냥 있다가는 죽을 것 같아서 시작한 운동이었습니다. 날씨가 너무 안 좋은 1, 2월을 빼고 지금도 지속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해야겠다 하고 있습니다. 운동을 하면서 좋은 점들을 많이 경험하고 있습니다. 일단 몸에 약간 기운이 차 있는 느낌이 기분이 좋습니다. 지속적인 작은 성취감도 제 기분을 업!! 시켜주고 있습니다. 운동하니까 자연스레 먹는 것도 좀 조심하게 되고, 그러면서 체중조절도 되고 있습니다. 외모에서 좋은 방향으로의 변화로 예전에 비해 자신감..

조건이 바뀌면 방법도 바뀌는 법..

요즘 왼손으로 글씨 쓰는 연습을 하고 있습니다. 글씨를 쓰다 보면 어떤 글자는 좀 적응이 되는데, 어떤 글자는 좀처럼 그렇지 않습니다. 최근에.. 세로획이 많이 들어가는 것은 좀 쉽고, 가로획이 많은 것은 어려운 걸 발견했습니다. 글씨를 쓸 때 가로획을 오른손으로 쓰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써왔으니까 왼손으로 쓸 때에도 당연히 그렇게 했습니다. 그런데 그게 아니었습니다. 왼손으로 쓸 때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해야 더 안정감있게 획이 그어졌습니다. 오른손으로 쓰듯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으면 글씨에 힘을 제대로 주지 못하고 흔들거리는 것이었습니다. 아하! 했습니다. 왼손으로 글씨를 쓸 때에는 오른손으로 쓸 때와 방법이 달라지겠구나! 나중에 왼손으로 글을 쓰시는 분들에게 어떻게 쓰는지 그 방법을 직접 물어볼..

'당신의 무대' 데뷔를 응원하며 ... [Born singer] by BTS

[Born singer] by BTS 처음 이 노래를 들을 때에는 '정체성'이이라는 단어에 꽃혔습니다. (관련 게시글: https://yuncrates.tistory.com/45, BTS, 그들의 정체성은 [Born singer].. 그리고 당신의 정체성은 무엇?) 요즘 다시 들으며 '데뷔'라는 단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https://youtu.be/2XsP4I9ds4c [슈가] 난생 처음 방탄이란 이름으로 선 무대 삼년 전 첫무대의 마음을 다시 검문해 여전히 대구 촌놈 랩퍼와 다를게 없었지 but 아마추어란 단어 위에 프로란 단어를 덧 썼지 그토록 원하던 무대 랩을 하며 춤 출때 아직 살아 있음을 느껴 피곤하고 고된 출퇴근 따위는 견딜만해 내사람들이 지켜보니까 몸이 아파도 버틸만해 함성들이 밀려 오니..

BTS의 사랑 노래를 듣는데 왜 '절제, 헌신'이 생각나는 걸까... [Coffee], [하루만] by BTS

방탄의 노래 중에 부드럽고 달콤해서 좋아하는 노래가 있습니다. 바로 [하루만]과 [coffee]입니다. [coffee]의 원곡은 어반 자카파의 [커피를 마시고]입니다. 방탄의 [coffee]를 듣기 전부터 알던 곡이었고, 참 좋아하는 곡이었습니다. https://youtu.be/SUJShwbRJHg 어반 자카파(Urban Zakapa) 커피를 마시고 요즘엔 방탄의 [coffee]는 제 노동요가 되었습니다. 듣고 있으면 커피를 마시지 않아도 카페인이 충전되는 느낌이랄까요. 그래서 커피는 마시고 싶은데, 자제해야 하는 경우 이 노래를 듣고 있습니다. https://youtu.be/FJuOEuvMAnE BTS(방탄소년단) Coffee 처음에는 노래가 너무 감미로워서 좋아했는데, 나중에는 RM의 랩을 유심히 듣..

기록을 남기는 이유, 개인 기록의 의미

요즘 매일의 '의미있는 기록'을 남기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가 말하는 '의미있는 기록'이란 분야의 일을 하는 과정의 경험과 깨달음 중에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되는 것들에 대한 기록을 의미합니다. 제게는 반복되는 일상이라 그냥 지나칠 수 있는 어떤 작은 일이 다른 어떤 분에게는 팁이 될 수도 있을 것 같거든요. 이것은 이건 이런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 온 제 경험에서 느낀 것입니다. 저는 뭔가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을 때 웹에서 문서나 동영상을 찾아서 해결하고 있고, 그렇게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렇게 기록을 남겨주시는 분들이 참 고마웠습니다. 그래서 가능한 '좋아요'나 '공감' 버튼을 꼭 누릅니다. 찾지 않을 때는 몰랐는데, 찾다보니 세상에는 모든 해답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다만 찾을 생각을 못 ..

많은 일을 힘들지 않게 하려면... "그냥 하자, 일단 하자"

쏟아지는 일들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현재까지 내린 제 결론은 이것입니다. 때로는 그냥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때에 그냥 하는 것.. 일이 왜 힘들까요? 제 경우에는 '완벽하게' 해내려는 욕심이 커서 그렇습니다. 그 욕심 때문에 어떤 일을 손에서 쉽게 놓지를 못합니다. 어느 정도 하고 나서는 그 일을 놓고 다른 일을 해야 하는데, 손에 잡은 일을 놓을 수 없는 저를 발견하곤 합니다. 그러다보면... 일이 쌓여가는거죠.. 그래서 '완벽'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제가 생각했던 완벽은 '절대적 기준'이 있다는 전제가 깔려 있었습니다. 누가봐도 완벽한 결과물을 내고 싶었습니다. 그것도 제가 하는 모든 일에 대해서요. 이건 불가능이죠. 왜 그러냐면... 우선 '절대적 기준' 자체..

세상을 향한 RM의 비전...[180511 RM] by BTS RM

세상을 더 좋게 바꿀 수 있을까요? 만약 더 좋게 바꿀 수 있다면 그것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정해져 있을까요? 저는 세상이 더 좋은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지금의 세상이 누구나 만족할만큼 좋은 것은 아니고, 매일 언론매체를 통해 듣고 있기 힘든 뉴스들이 쏟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조금의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며 조금씩 나아지는 영역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주말에 [방탄TV] 채널 알람으로 RM의 로그 업데이트 소식을 받았습니다. RM의 로그는 처음으로 보는 거라 어떤 이야기를 할지 궁금했습니다. IDOL 컴백을 앞두고 찍은 로그라 작업 관련된 이야기가 물론 쭉 나옵니다. 180511 RM https://youtu.be/XZkfFD08zio 그리고 두둥~ RM이 세상을 바꾸..

내 인생의 진정한 성공을 돕는 방법... [아주 작은 습관의 힘] by 제임스 클리어

[아주 작은 습관의 힘] - 제임스 클리어 이 책은 제목에서 말하는 것처럼 '작은 것이 미치는 커다란 영향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성공을 위한 습관 형성'에 대한 책은 무지 많습니다. 어쩌면 뻔한 주제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책의 차별점은 무엇일까요? 제가 생각하는 이 책의 가장 큰 차별점은 '성공을 무엇으로 보는가'입니다. 책의 초반에 '책임감 있는 어른'이라는 말이 나왔는데, 여기서 저자가 생각하는 성공이란 무엇인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저자가 말하는 '성공'은 '내가 추구하는 자아상을 갖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책을 읽는 내내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지?'라는 질문을 하게 되었고, 어느 정도 답을 찾게 되었습니다. 이 책을 관통하는 핵심 단어를 추려보자면... ..

대학원생 논문 읽을 때 팁

제가 논문 읽을 때 쓰는 방법을 말씀드릴까 합니다. 보통 특정 주제에 대해 한글 논문, 영어 논문을 찾게 됩니다. 한글 논문의 경우 아래의 링크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를 이용합니다. RISS의 경우 논문 검색을 하면 해당 논문이 KCI 등재지인지 여부가 보여서 선택 여부를 결정할 때 편리한 장점이 있습니다. 한글 논문 http://www.riss.kr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www.riss.kr 영어 논문의 경우 아래 링크인 [구글 스칼라]를 이용합니다. 공개된 논문은 대부분 여기서 찾을 수 있습니다. 구글 스칼라의 장점은 인용정보가 참조하기 좋게 잘 되어 있다는 것과 얼마나 인용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관련 링크: https..

반응형